뽐내지 않는 듯 은은하게 빛나는 생칠

뽐내지 않는 듯 은은하게 빛나는 생칠

경기무형문화재 제17호
송복남 생칠장 보유자

옻칠한 다기는 오묘한 빛깔로 은은하게 빛난다. 나무의 결이 살아 있지만 나무보다는 단단하고 고급스러우면서도 우아하다. 이렇게 아름다운 빛을 내기 위해서는 단 한 번의 옻칠만으로는 부족하다. 적어도 7번, 송진을 칠하고 수증기로 말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70년 동안 이렇게 옻칠만을 이어온 경기무형문화재 제17호 생칠장보유자의 고집과 뚝심이 반가운 이유는 그만큼 옻칠이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글 강나은•사진 김희진

인내심과 부지런함으로 생칠한 세월

송복남 선생이 옻칠을 배운 이유는 가난해서였다. 그저 몸뚱이 하나밖에 믿을 것이 없던 그는 친구를 따라 옻칠을 배우기 시작했다.

“옻칠이 참 재미있었습니다. 물에 개어서 쓰니까 시원한 맛도 있고요. 열네 살 때부터 시작해서 여든넷인 지금까지 한번도 다른 일을 해본 적이 없어요.”

그는 옻칠이 재미있다고 말하지만 그 과정만은 장인정신이 없으면 이어가기 힘들다. 나무를 먼지 한 톨 없이 닦고 난 뒤에 송진으로 옻칠을 시작한다. 하루를 공들여 그렇게 옻칠을 하고 난 뒤에는 3일 동안 수증기로 옻칠을 말린다. 공기에 두고 말리면 세상이 바뀌어도 옻칠은 마르지 않는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렇게 옻칠을 말린 뒤에는 사포로 그 표면을 갈아내어 부드럽게 만든다. 그 뒤에 먼지를 닦아내고 옻칠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렇게 7번을 해야 하니 웬만한 인내심과 부지런함이 없으면 작품 하나를 완성하기도 힘들다. 게다가 송복남 선생은 옻칠이 잘 안 벗겨지게 하기 위해 오래 옻칠을 말렸다가 다시 칠한다.

그렇게 정성을 다해 옻칠한 나무는 까맣게 보인다. 여기서 우리가 알던 빛깔을 띠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생칠은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나뭇결이 살아나요. 반짝반짝 윤기도 나고요. 그렇게 되는 과정을 색이 핀다고 말해요.” 붉은 듯, 어두운 듯 은은한 윤기는 우리에게 있어 가장 편안하면서도 고풍스럽다. 그런데 옻칠은 아름답기만 한 것이 아니다.

옻칠의 진짜 매력은 실용성에 있다. 물에도 썩지 않고, 불에도 잘 타지 않는다. 심지어 항균 기능까지 있으니 예로부터 조리도구와 수저 등에 사용했다. 팔만대장경도 옻칠 덕분에 고려시대부터 지금까지 온전한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깊어지는 아름다움

그는 오로지 생칠 하나의 길만 걸었다. 무형문화재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가 문화재 신청을 하게 된 것도 서울특별시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홍순태 스승에게서 배우던 중 다른 제자가 무형문화재에 서류를 내면서였다. 서울특별시무형문화재와 경기도무형문화재 중 하나를 택하라는 스승의 말에 그는 주저 없이 경기도를 택했다. 

“그때가 안양에 살기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을 때였어요. 내가 경기도에서 살고 있으니 당연히 경기도무형문화재가 되고 싶다고 했죠.”

그러고는 한참 뒤 어느 날부터 집으로 전화가 빗발쳤다. 경기도무형문화재로 선정되면서 전국 각지의 수많은 사람이 그의 작품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그때 당시가 IMF 때였는데, 그렇게 경기가 힘든 줄도 몰랐어요. 작품 중 제일 조그만 작품이 수저 세트 2벌짜리인데, 한 벌이라도 좋으니 보내 달라고 성화였으니까요. 이렇게 한 길만 걸어온 보람이 있었죠.”

그 뒤로 20년이 흘렀다. 이제 그는 허리통증으로 오랜 시간 작업을 하기에는 힘에 부친다. 옻칠 기술을 가진 이들은 점점 사라져 가고, 옻칠의 아름다움을 아는 이들도 점점 사라져 가고 있지만 그는 손에서 송진을 놓지 않는다.

“생칠로 먹고 살기는 힘들어요. 송진을 채취하는 과정 자체가 너무 힘드니까 송진을 비싸게 살 수밖에 없어요. 그리고 옻칠 과정에서 시간과 정성이 많이 들어가고요. 그래도 옛날에는 많이들 사서 썼는데, 요즘에야 어디 그런가요. 그래도 저는 이것밖에 할 줄 몰라서 그런지 옻칠이 좋습니다.”

오랜 세월을 지나올수록 인정받는 것들이 있다. 고전이라고 일컬어지는 문학작품이 그렇고, 명반으로 손꼽히는 음악이 그렇다. 그리고 송복남 선생이 정성을 쏟아 칠한 작품도 그렇다. 은은한 윤기를 띤 그 아름다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더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