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 ‘을’들을 위하여 노동인권 문제 해결 앞장

김미리 의원은 도서관 사서 출신이다. 비정규직으로 일했다. 고용주인 학교장의 권한이 막강했다. 공식 업무 외 고용주의 사적인 업무도 수발해야 했다. 턱없이 모자란 인력에 부당한 대우까지 받아가며 일했지만 돌아온 것은 막말과 인격모독이었다.
김미리 의원은 도서관 사서 비정규직들에 대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노조를 만들고 파업을 이끌었다.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지부장으로 일하며 제도개선에 힘썼다. 경기도의회 제9대 의원으로 입성했다. 의회 내에서 쉽게 말 할 수 없었던 ‘비정규직’이라는 단어를 도정질의를 통해 공론화시켜냈다.
“공공도서관 비정규직 사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방으로 애썼어요. 그래서 작년에 연정예산 심의 과정에서 공공도서관 사서의 무기계약 전환을 주장했고 받아들여졌어요. 그래서 현황조사를 들어갔는데 단 한명의 사서도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되지 못했어요. 모자란 인력은 파트타임 노동자를 고용해서 사용했는데 3시간 미만으로 일해서 전환 대상에 못 들어가고, 2년 이상 계약을 안 해주니 당연히 2년 이상 근무한 사람도 없고요. 예산은 있는데 대상이 없어서 계획이 허무하게 물 건너 간 거예요.”
김미리 의원은 주먹구구식으로 때우고 보는 중앙정부와지방정부의 비정규직 노동자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10to4’로 일컬어지는, 임금조건은 저하되고 노동강도는 높으면서 집안일을 여전히 여성만의 일로 간주하며 여성의 경력과 능력을 사장시키는 ‘경력단절여성’ 정책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도 진단한다. 단 경기도의회 내에서 긍정적인 변화도 있었다. 경기도 노동자 인권보호 특별위원회가 구성된 것이다. 김미리 의원은 특위의 간사를 맡았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재계약이 걸려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말 한마디도 조심스러워요. 그러나 이번 인권특위의 신설로 인권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인권과 노동권을 보호할 수 있는 근거가 생긴거죠. 또 경기도는 노동쟁의 비율이 높은데 노동자 인권특위 간사로서 노사분규의 현황을 보고 받고 대책까지 마련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미리 의원은 최근 공공기관에서 일하던 비정규직, 무기계약직, 기간제근로자를 ‘공무직’이라고 지칭할 수 있는 조례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내 노동 현안들을 해결하고 노동자들이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경기도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