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백성의 삶을 지키는 견고한 요새였으니

광주시에는 남한산성의 축조에 관한 한 전설이 전해집니다. 인조 때 광주 유수로 있던 이서는 이인고와 승려 벽암에게 성을 나누어 쌓게 했습니다. 북쪽 공사를 맡은 벽암은 기일 안에 축성을 끝낸 반면 이인고는 견고하게 성을 쌓느라 기일 안에 공사를 끝내지 못하고, 간신들에 의해 주색에 빠져 공사를 게을리한다 누명을 쓰게 됩니다. 이를 사실로 믿은 이서가 이인고를 참수하자 어디선가 매 한 마리가 날아와 뜰 앞 바위에 앉았다 사라졌습니다. 수어장대 앞 바위에는 매의 발자국 흔적이 남아 있다고 전해집니다.

 

천험의 요새로 불리는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약 24km 떨어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습니다. 삼국시대 때는 한강과 더불어 삼국의 패권을 결정짓는 주요 거점이었고, 고려시대 때는 몽고군을 맞아 나라를 지키는 보루로서의 역할을 유감없이 발휘한 ‘역사의 현장’이었습니다. 병자호란 때는 청나라의 12만 대군을 맞아 마지막까지 항전했던 곳이고, 일제강점기 때는 수많은 항일투쟁운동이 벌어진 독립운동의 거점이었습니다.

 

 

왕실 도자기의 역사가 깃든 곳

조선시대 광주는 왕실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를 생산하는 관요가 있던 지역입니다. 도자기 제작에 필요한 땔나무를 구하기 쉬웠고, 한강과 경안천의 수로를 통해 서울까지 도자기를 이동하기 용이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관장하던 사옹원 분원의 가마터가 300여 곳에 이릅니다. 땔나무를 구하기 위해 숲이 울창한 지역을 찾아 분원을 이설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대략 10년을 주기로 이설하다 18세기 중반 이후 현재 분원백자자료관이 있는 분원리에 분원이 고정 설치됐습니다.

땅이 넓은 고을, 광주

광주산맥의 밑단부에 위치해 구릉성 산지가 발달했습니다. 경안천 등 남한강의 지류를 따라 평야가 이어져 4,000여 년 전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습니다. 한강변에 있는 남종면의 검천리와 오포면의 양벌리 등에서 신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됐고, 상평동·궁평동·쌍동리 등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등이 보다 넓게 발견됐습니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 940년부터 ‘땅이 넓은 고을’이란 뜻의 광주로 불렸습니다.

 


역사와 생태자원의 보고, 광주

 [남한산성]

북한산성과 함께 수도 한양을 지키던 산성으로, 사계절 수려한 경관을 자랑합니다. 사적 제57호로 지정돼 있으며, 2014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습니다.

 [분원도요지]

분원도요지는 왕실에서 사용하는 도자기를 생산하는 관요를 관장하는 사옹원 분원이 있던 곳입니다. 2003년에 개관한 분원백자자료관에서 조선시대 도자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천진암]

신유박해 때 천주교도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들었던 곳입니다. 초기 학문적 지식 수준의 천학을 강학회를 통해 천주교로 발전시킨 곳으로, 성지 순례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습니다.

 [곤지암도자공원]

조선시대 관요의 맥을 잇기 위해 조성한 곳으로, 공원 내에 경기도자박물관과 도자교육체험시설 등이 있습니다. 매년 4월경에는 이곳에서 광주왕실도자기축제도 열립니다.

 [경안천습지생태공원]

1973년 팔당댐이 건설되며 일대 농지와 저지대가 물에 잠겨 습지가 된 곳입니다. 갈대숲 사이로 테크 로드가 지그재그로 깔려 있어 운치를 더합니다.

 [팔당물안개공원]

원래 섬(귀여섬)이던 곳을 다리를 놓아 공원으로 만들었습니다.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도록 산책로와 자전거도로를 조성했고, 가을이면 코스모스 가득한 공원을 유유자적 거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