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특집] 민화로 풀어 보는 쥐 이야기 “풍요와 희망, 기회의 해”

2020년 경자년(庚子年)

“풍요와 희망, 기회의 해”

2020년은 경자년, 쥐의 해다. 12지신 가운데 첫 번째 동물인 쥐는 예부터 다산(多産)과 부지런함, 영리함의 상징이었다. 이에 풍요와 희망, 기회의 해로도 소개되는 2020년 쥐띠 해를 맞아 우리 전통 민화에 등장하는 쥐를 한번 살펴본다.

글 이미진
자료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간송미술관
참조 국립민속박물관 ‘쥐의 생태와 관련 민속’,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김유신묘 십이지 쥐신상의 탁본 탁본의 쥐는 몸은 사람의 형체이고 머리는 동물 모양이다.

지난해 기해년이 오행으로 ‘황금 돼지의 해’였다면, 올해는 경(庚)이 오방색으로 흰색에 해당돼 ‘흰 쥐의 해’다. 60간지(干支) 중에서 쥐띠 해는 갑자(甲子, 나무쥐) 병자(丙子, 불쥐) 무자(戊子, 흙쥐) 경자(庚子, 바위쥐) 임자(壬子, 물쥐) 등 다섯 가지의 순서를 거치며, 그중 경자년은 바위쥐에 속한다. 돌이나 바위틈에 사는 바위쥐는 열악한 환경을 이겨내야 하는 까닭에 생명력이 유난히 강하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쥐의 생물학적 특성처럼 어느 곳이고 잘 견디어 살며, 또 부지런하고 성실한 데다 절약 정신이 강한 편이다.

방향으로는 정북, 시간으로는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는 자시(오후 11시부터 오전 1시), 달로는 가을에 드는 음력 11월을 지키는 방위신 겸 시간신이다. 우리 역사에서 쥐의 그림은 능묘, 탑상, 불구(저울추), 생활용품 등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불교와 함께 전래된 12지신상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까지 호국적 의미로 새겨졌다. 진덕여왕릉과 흥덕왕릉, 고려시대 이후 무덤 현실 내부의 벽화 등에도 쥐가 등장한다. 삼국통일 이후로는 호국적 의미보다 무덤을 지키는 방위적 의미가 더 커졌다.

전 신사임당 ‘초충도’ 중 ‘수박과 쥐’ 여덟 폭 병풍의 초충도 중 하나다. 풍요를 상징하는 수박과 쥐 한 쌍을 섬세한 필선, 선명한 색채, 안정된 구도로 서정미 넘치게 표현한 작품이다. 그림에 등장하는 쥐는 부지런히 일해서 부자가 되라는 뜻을 담고 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서민들의 간절한 바람을 평면에 표현해 내는 민화의 성행과 함께 쥐의 생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쥐 그림이 많아졌다. 조선 초기의 여류화가이자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잘 알려진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의 ‘수박과 쥐’가 대표적이다. ‘초충도(草蟲圖)’의 수박을 갉아 먹고 있는 쥐의 모습에서 서정미와 섬세한 필선 그리고 선명한 색채 감각을 엿볼 수 있다. 시서화에 능통한 대가의 작품답다.

또한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의 ‘서과투서(西瓜偸鼠)’, 심사정(沈師正, 1707~1769)과 최북(崔北, 1720~미상)의 ‘서설홍청(鼠囓紅菁)’ 작품에도 쥐의 모습이 사실적으로 잘 묘사돼 있다. 이 밖에도 쥐를 소재로 한 미술품이나 생활용품이 많으나, 대개는 12지신 가운데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최북 ‘서설홍청’ 눈빛에 총기가 어리고 털이 함치르르한 쥐 한 마리가 붉은빛을 띤 무 위에 올라 조심스레 무를 갉아대고 있다. 무는 홍복의 상징으로서, 여기서 쥐는 복을 비는 마음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봄직하다.

민화에 등장하는 쥐의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더럽고 간사한 모습이 아니다. 신령스러운 동물로 간주해 긍정적인 면을 드러냈다. 즉 우리 선조들은 쥐에게 풍요와 희망, 기회의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옛 속담 ‘쥐가 모자를 씹으면 재물을 얻게 된다’ ‘쥐띠가 밤에 나면 잘 산다’ ‘쥐가 방안에서 쏘다니면 귀한 손님이 온다’ ‘장독에 쥐가 빠지면 집안에 나쁜 일이 있다’ ‘쥐가 집안에서 흙을 파서 쌓으면 부자가 된다’ ‘꿈에 쥐가 달아나면 기쁜 일이 생기며 꿈에 쥐가 사람의 옷을 쏠면 구하는 바를 얻는다’는 등이 모두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새해에는 경기도민 모두에게 복을 가져다 주는 쥐들만 나타나기를 간절히 바라본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