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 하나에 의미를, 문양 하나에 정성을 겹겹이 쌓아 올린 작품들

색 하나에 의미를, 문양 하나에 정성을 겹겹이 쌓아 올린 작품들

담청 윤서형 명인

원하는 색을 뽑아내기 위해 직접 염색 한 한지를 겹겹이 덧바르자 종이라기에는 믿을 수 없을 만큼의 단단함이 만들어졌다. 전통 방식을 고수하며 오랜 시간 고민하고, 겹겹이 쌓아 올리는 담청 윤서형 명인의 손길 사이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켜켜이 쌓여 간다.
 강나은•사진 장병국

 

한국문화를 뽐내기 위해, 전통을 알리기 위해

명인의 작업실로 들어가면 이곳이 작업장인지 박물관인지 헷갈릴 정도로 많은 유물이 보입니다.
아주 전통적인 모양과 빛깔을 띠고 있지만, 사실 모두 그녀의 손길로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작품입니다.
더 놀라운 것은 전부 한지를 재료로 했다는 점입니다. 지장예단함은 물론 오늘날의 화장대인 황칠한지좌경, 삼층장도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두드려 수십 겹 넘게 종이를 붙여서 만든 작품들입니다.

담청 윤서형 명인의 작품은 어떤 개인이 소장하는 작품보다는 박물관에 전시되는 작품이 대다수입니다.
그녀는 기존에 소장된 유물을 그대로 재현해 박물관에서 전시·소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옛 유물을 해석하고, 의미를 담아 재생산해 내기도 합니다. 게다가 한국문화를 알리기 위해 해외로 보내지기도 할 정도이니, 그녀의 작품은 단순히 지장공예가 아니라 한국전통공예를 대표하는 작품인 셈입니다.

그녀가 한국전통공예를 대표하는 인물임은 수상 내역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전승 공예대전에서 입선만 해도 과거에 급제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할 정도로 쉽지 않았던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제 37회 문화재청장상에 이어 제39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것입니다.
이 때 그녀가 만든 작품은 지장서류함으로, “전통기법에 충실하면서도 전통한지의 단순한 용도에서 탈피한 형태와 기법이 돋보이는 작품” 이라는 찬사에 가까운 심사평을 듣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공예 분야에 있어 최고의 영예를 안기 전까지의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지장서류함을 만드는 데에는 꼬박 2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한지를 꼬아 지승을 만들고, 한 올 한 올 꿰매고 망치로 두드린 뒤 겉면에는 한지 특유의 섬유질을 살리기 위해 일일이 찢어 네다섯 겹으로 덧대어 붙여 만들었습니다.

“재주가 없는데도 이런 큰 상을 받았으니, 앞으로 제가 꼭 해야 할 일이 있다고 생각해요.
저는 살아서 작업을 하지만 제 작품은 제가 죽고 난 뒤에도 살아 있도록 할 겁니다. 지금 쓰는 종이가 700년이 간다고 하니 제 작품도 700년 갈 수 있도록 해야죠.”

언어를 대신하는 색과 문양으로 마음을 담아

지장공예가 한창 유행하던 조선시대, 주로 지장공예로 소품을 만드는 역할은 여자들의 몫이었다. 사회적 진출이 쉽지 않던 시절, 여자들의 소망은 오롯이 남편과 자식에게로 향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어렸을 때는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길게 연결된 무늬인 당초무늬를, 청년이 되면 과거급제를 상징하는 문양을, 자식이 결혼한 뒤에는 다산의 상징인 문양을 쓰고, 자신이 더 나이가 들면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십장생을 새겨 넣었습니다.

“옛날에 우리 어머님들은 새벽에 일어나면 부엌에 정화수를 떠놓고 소원을 빌었잖아요. 그 정성에 소망을 담아서 만들어야 제대로 고증한 전승작이라고 할 수 있죠.”

그녀가 작품 활동을 하며 늘 되새기는 것도 이러한 소망과 정성입니다. 그녀는 작업을 시작할 때면 스토리를 먼저 구상합니다. 이 작품을 선물한다고 하면, 상대방을 위해 어떤 색을 쓰고, 어떤 문양을 넣을지부터 고민합니다. 그러고 나서 그 마음을 담아 작업하기 때문에 그녀는 전통방식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합리적이면서도 편리한 방식을 쓰고 싶다는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비법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게다가 그녀는 작품을 위해서라면 보이지 않는 수많은 노력도 아끼지 않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평소에 박물관에 가서 유물을 감상하고, 박물관에서 열리는 특별전시전도 빼놓지 않습니다.

“작품은 색상과 문양에 따라 그 아름다움이 달라지잖아요. 저는 작가로서 제 눈이 가장 세련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유물을 많이 보고 그 유물에 대한 눈이 열릴 때, 비로소 작품을 만들 만한 상태가 되는 것이죠.”

“저는 살아서 작업을 하지만 제 작품은  제가 죽고 난 뒤에도 살아 있도록 할 겁니다.  
지금 쓰는 종이가 700년이 간다고 하니  제 작품도 700년 갈 수 있도록 해야죠.”

 

전통공예를 하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닦는 그녀는 최근 작풍을 약간 바꾸었습니다.

“우리나라 정서는 아주 세련되고 복잡한 것이 아닙니다. 빈 공간이 있어도 그 허전함을 느끼지 못하고, 이를 여유로 느끼는 것에 있어요. 현대 교육을 받아서 꽉 찬 것을 아름답다고 생각하고, 저 역시 20여 년간 꽉 채우는 작업을 하다가 이제야 진짜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알았어요. 또 각을 딱 맞게 세우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각을 둥그스름하게 깎아 그 아름다움을 살리려고 하죠.”

하지만 ‘채운 아름다움’보다도 ‘비운 아름다움’을 표현하기가 훨씬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자신의 작품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책상에 올려놓고, 날마다 쳐다보는 것을 반복합니다. 그녀의 작업실에 같은 모양의 작품이 여러 개 남아 있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그녀는 작품의 크기와 색을 미세한 차이만큼 변주하며 최상의 아름다움을 찾습니다. 하지만 그조차도 그녀가 만들어 내는 작품세계의 완성형은 아닐 것입니다.

“제 나이 70까지는 안경을 쓰고 문양을 팔 수 있으니 작업을 왕성하게 할 수 있겠죠. 더 나이가 들어서 손이 더뎌지고, 눈이 침침해졌을 때는 종이를 뜯어서 붙인다든가 새로운 방식으로 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담청 윤서형 명인의 작품은 특별한 의미와 지극한 정성을 담고 오랜 시간을 건너 후세에 전달될 것입니다. 그녀가 재현하고 싶었던 유물들이 그러했듯이.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