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편 조선 시대 최고의 개혁 군주 정조대왕의 문화 강국이 되기 위한 노력…

수원 편 조선 시대 최고의 개혁 군주 정조대왕의 문화 강국이 되기 위한 노력…

한갓 겉모양만 아름답게 꾸미고 견고하게 쌓을 방도를 생각하지 않으면 참으로 옳지 않지만, 겉모양을 아름답게 하는 것도 적을 방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병법(兵法)에 상대방의 기를 먼저 꺾는 것을 귀하게 여기기 때문에 소하(蕭何)는 미앙궁(未央宮)을 크게 지었고, 또 말하기를 ‘웅장하고 화려하지 않으면 위엄을 보일 수 없다’고 했다. 그렇다면 성루를 웅장하고 화려하게 꾸며서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기가 꺾이게 하는 것도 성을 지키는 데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徒爲觀瞻之美, 而不念堅緻之方, 固不可, 而觀瞻之美, 亦有助於禦敵. 兵法貴乎先奪人之氣, 故蕭何大治未央宮, 亦曰: ‘非壯麗, 無以重威’ 然則城樓雄麗, 使觀者奪氣, 亦爲守城之大助. 懸眼之制, 或曰非甓城不可爲, 此則不然.]

– <정조실록 38권, 정조 17년 12월 8일>에서

문화·체육·관광 분야 신성장 동력 마련으로 경기도의 문화 발전 기여

우리 역사상 최고의 개혁 군주로 평가받는 조선 제22대 정조대왕(1752~1800년). 그는 “성이 튼튼하면 됐지, 왜 이렇게 아름답게 쌓느냐”는 신하들을 향해 “아름다운 것이 진정 강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사적 제3호)은 이러한 사상을 지닌 정조의 효행심이 바탕이 됐을 뿐만 아니라 국가 부흥을 위한 정치개혁 기반도시로서 축조됐다.
경기도의회는 이처럼 강력한 왕도정치 실현을 넘어 문화 강국으로 도약하고자 한 정조대왕의 정신을 이어받아 경기도 문화정책의 신성장동력을 만들기 위한 정책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수원화성 성곽길 따라 ‘정조의 꿈길’을 걷다

팔달산 정상에 우뚝 솟은 화성장대(서장대)에 오르니, 성의 안과 밖은 물론이고 인구 125만을 품은 대도시 수원시가 한눈에 들어온다. <화성성역의궤(축성 총보고서)> 첫 편[首]에 나오는 화성전도의 모습이 그대로 투영되는 듯하다. 또한 그 모습이 봄날 벚꽃이 만개한 것처럼 화(華)하니 화성(華城)의 이름을 실감케 한다. 224년 전 정조는 화성의 가장 높은 바로 이곳에서 원대한 정치적 포부를 꿈꿨을 터다.
정조가 이곳 수원을 읍치로 정한 것은 아버지 장헌 세자(사도 세자)의 영향이 컸다.
부친의 비참한 죽음을 목도한 그는 어린 시절부터 풍수지리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왕위에 오른 이후에는 풍수지리적으로 조선 시대 최고의 명당으로 꼽히던 수원 화산(華山, 현 화성 융건릉)으로 장헌 세자의 능침을 옮기고, 읍치를 수원의 팔달산 아래 동쪽으로 옮겼다. 물론 이 같은 일은 그의 곁에 그의 이상을 굳건히 뒷받침해 줄 조선 최고의 문신이라 할 만한 번암 채제공(樊巖 蔡濟恭)과 최고의 과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이 또한 정조가 고른 인재 등용을 위해 신분 개혁을 하고 사상개혁을 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

“모든 일에서 규모를 먼저 정하는 것보다 앞서는 것이 없고, 규모를 정할 때는 미리 경영하는 것만한 것이 없으며, 경영에는 적격자를 얻는 게 최고로 중요하다. [凡事如先定規模 規模莫如預爲經紀 經紀又莫如得其人.]”
– <화성성역의궤, 191쪽에서>
중국의 만리장성이 부럽지 않을, 우리 역사의 수많은 성곽 가운데 ‘성곽의 꽃’으로도 불리는 수원화성은 아름다우면서도 실학 정신을 바탕으로 과학적·실용적으로 설계된 조선 건축 최고의 걸작이다. 이에 경기도의회는 화성 성곽을 옛 모습으로 복원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는 한편 경기도에서 발원되고 경기도에서 융성한 실학을 다시 꽃피워 경기도 발전의 동력으로 삼아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18세기 당대 동서양 최고의 축성술을 집약해 130만㎡ 면적을 두른 성곽의 길이는 5.7㎞다. 1794년 1월에 시작해 불과 32개월 만인 1796년 9월에 축성해 낸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며, 정조의 꿈이 서린 성곽길을 따라 천천히 거닐어 본다.


사상 개혁과 효심이 곧 문화적 부흥으로 이어지다

수원화성은 동서남북으로 청룡문·화서문·팔달문·장안문 등 4대 문을 낀 성곽길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에서도 남쪽 문에 해당하는 팔달문(보물 제402호)은 모든 곳으로 길이 통한다는 ‘사통팔달’에서 비롯한 이름이다. 정조는 부친인 장헌 세자의 능침으로 가기 위해 팔달문을 통과했는데, 12년간 13차례 능행을 했다. 정조의 능행 중에서도 ‘을묘년(1795년) 화성원행’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경하하기 위해 윤 2월 9일부터 16일까지 7박 8일간 진행한 대규모 행행(行幸)이었을 뿐 아니라 조선 문화의 패러다임을 바꿀 새로운 변화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혜경궁 홍씨의 회갑 진찬연은 당시의 회갑 잔치와 비교해 볼 때 새로운 변화로서 남녀가 함께 ‘합연(合宴)’을 벌이고, 여성이 상위에 앉고 남성이 하위에 자리하며, 조선의 악기만을 사용하고, 백성들이 잔치에 참여할 수 있게 한, 근대화로 나아가고자 한 문화적 혁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사통팔달의 팔달문은 바로 그 경계선상에서 백성과 소통하는 역할을 했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앙에는 수원화성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화성행궁(사적 제478호)’이 자리한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아버지 능원을 참배하러 갈 때 머물기 위해 수원화성과 함께 축조한 궁궐이다. 화성은 정조에게 있어 고향과 같았기에 행궁 정문에는 신풍루(新豊樓)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신풍루로 들어서서 정조의 어진이 모셔진 화령전(보물 제2035호)에 다다르면 정조의 애틋한 효심은 물론이고 그 뜻을 계승하고자 한 순조의 효심까지 살펴볼 수 있다. 수원에 산재한 대부분의 유적지는 정조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효심은 곧 문화적 부흥으로도 이어지고 있음을 알게 한다. 우리가 계승해 나가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올해로 축성 225주년을 맞은 수원화성은 이제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함으로써 더욱더 빛을 발하며 세계화에 이바지하는 중이다. 정조가 사상 개혁과 효심으로 220년이 넘게 빛날 문화를 일궜듯이 경기도의회 또한 문화·체육·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성장 동력 마련으로 경기도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의원의 시선

“정조의 이상 되새기며 문화로 더욱 발전하는 수원, 경기도 건설에 일조할 것”

정조는 재임 기간 중 선왕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해 당파 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하고자 했으며, 왕권 강화와 문예 부흥을 목적으로 규장각 설치와 함께 고른 인재 등용을 통해 활발한 개혁 정책을 펼쳤습니다. 왕위에 오 지 5년 만에 3만 권이 넘는 책이 규장각에 보관됐을 정도였습니다. 그가 남긴 치적은 단연 빛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학자(大學者)이자 성리학의 대가였던 만큼 학문과 예술을 즐겼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서양의 과 기술을 받아들이는 등 문화정치를 펼쳤습니다.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은 조선 후기 문화 부흥의 상징이자 정조시대 개혁 정치의 산물인 것입니다. 하지만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백성들의 인권 신장 등을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정조는 개혁을 완성하지 못하고 1800년 49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조선을 완전히 새로운 나라로 만들겠다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미완의 개혁정치가’로 역사에 남게 됐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정조의 정치사상과 남다른 효심에 깊은 감명을 받은 저는 오늘날 경기도 제10대 의원이 돼 정조가 꿈꾼 이상을 다시 한번 실현시키려 합니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으로서 경기도 관광 진흥 및 문학 진흥을 통한 문화 정책 활동을 펼침으로써 문화로 더욱 발전하는 수원, 경기도 건설에 일조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김봉균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