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들의 배움터, 야학(夜學) 선생님으로 느끼는 행복

저는 9년째 야학(夜學)에서 검정고시반 중등부 사회를 가르치고 있는 야학 선생님입니다. 공기업에 근무할 때부터 시작해 경기도의회 의원에 당선된 현재까지 꾸준히 하다 보니 현재는 생활의 일부가
됐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수원에서 길을 걷거나 버스 안에서 또는 광교산 등산 중 누군가 꾸뻑 인사를 해 쳐다보면 대개는 저를 알아본 제자들입니다. 그러며 저도 반가워하며 인사를 합니다.
‘야학’하면 무엇이 떠오르시죠?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빈부격차가 심하던 시절, 정든 고향을 떠나 대도시로 몰려든 가난한 공장노동자와 배움의 기회를 놓친 젊은이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던 곳이 야학이었습니다. 지금도 전국에는 300여 곳의 야학이 있는데, 그나마도 최소한의 교육환경을 갖추고 활동하는 곳은 160여 곳밖에 되지 않습니다.
1980년대만 해도 전국에 1,500여 개의 야학이 있었지만 경제적 문제 등으로 대부분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딱히 도움의 손길을 주는 곳이 없습니다. 사회적 최약자의 배움터인 야학은 우리가 갚아야 할 ‘빚’입니다.
수원에도 한때는 8개의 야학이 있었으나, 지금은 팔달구에 ‘수원제일야학’(현 수원제일평생학교) 딱 1곳만 남아 있습니다.
1963년 수원공군비행단 간부들과 서울대 농대생들이 중심이 돼 만든 학교로,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들에게 밀알이 돼 배움의 희망을 심어 주고 있습니다. 개교 이래 58년의 역사를 가진 제일야학은 약 5,00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이들 졸업생은 제일야학을 모교로 삼아 제2의 인생을 펼쳤습니다.
배움에 목마른 250여 명의 학생이 열심히 공부 중인 제일야학은 낮에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문해교육을 하고 밤에는 초중등 검정고시반을 운영하는데, 검정고시 합격률이 높아 지역에서 ‘검시 사관학교’로 불립니다. 낮에 직장에서 7~10시간씩 일하고 오신 분들이 야학에서 2~3시간 수업을 들어도 전혀 피곤해하지 않습니다.
저는 매주 금요일에는 저녁약속을 잡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제가 사랑하는 제자들 20여 명과 수업약속이 있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제일야학 교훈인 ‘교학상장(敎學相長)’에 따라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이나 모두가 스승이 되고 학생이 돼 어울리고 있습니다.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야학을 졸업한 이들은 대부분 방통대나 전문대, 사이버대학에 진학해 제2의 성장을 이루며 소중한 사회의 구성원들로 행복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이 교육에서만은 배제되지 않는 세상을 만들고 공정하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게 선생님들의 소박한 꿈이며 행복입니다.
야학은 한 시대의 사라져 가는 문화가 아니라 우리가 가장 힘쓰고 돌봐야 할 부분으로, 이제는 국가에서 야학에 관심을 가져 줘야 합니다. 옛날에는 국가가 가난해서 못 했지만 이제 최소한의 것을 할 수 있는 시기가 됐으니 지원해 줘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들도 이제는 자기가 가진 재능을 나누어야 합니다.
이 세상에서 자기가 가진 것을 나누며 아름답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세상은 더 따뜻해지고 풍요로워질 수 있습니다.